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Tags
- 보안
- windows server
- DataFrame
- node.js
- react
- Numpy
- Current
- ai
- OS
- 데이터 랭글링
- MSE
- pandas
- 코틀린
- Active Directory
- React개념
- 소프트웨어 장인
- 암호
- it책
- 경사강하법
- nodejs
- AI기초
- 선형회귀
- git
- tls
- LDAP
- 데이터 랭글링 예제
- 도서리뷰
- window server
- git에러
- 데이터 시각화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Computer Language (1)
blueforestDEV
[Kotlin] 코틀린에서의 생성자 선언 방식
코틀린에서의 생성자 선언 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.기본 생성자를 가지지 않는 클래스 선언 방식주 생성자를 사용하는 클래스 선언 방식이 글에서는 이 두가지 방식의 차이와 사용 목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. 1. 기본 생성자를 가지지 않는 클래스 선언 방식기본 생성자가 없는 클래스 선언 방식에서는, 클래스 선언 시 생성자에서 직접 프로퍼티를 초기화하지 않고, 클래스 본문 안에서 프로퍼티를 선언하고 나중에 초기화하는 구조를 갖는다.이 방식은 생성자 호출 없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지만, 필드 초기화가 나중에 이루어진다.class Topic { var name: String = "" var description: String? = null var numberOfAttendee: I..
Computer Language
2024. 10. 14. 17:11